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학

자아정체감의 발달 개념,정체감의 혼비와 유실,자아 정체감 유예,형성 영향 요인

by 미모코아쫄 2023. 6. 26.

자아정체감의 발달 개념은 정체감이란 능력, 신념, 추진력 및 개인적 경력이 재면적으로 자기구성화된 역동적인 체제입니다. 자아정체감은 시간이 흐르거나 상황이 바뀌어도 여전히 본질적으로 불면하는 자기 자신에 대한 인식을 말합니다. 이것은 역할, 목표, 가치 및 이념에 있어서 자기가 지니고 있는 고유성에 대한 지각과 이에 부합되는 자기 통합성과 일관성을 견지해 나가려는 노력을 의미합니다. 자아정체감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인간으로서의 존엄성, 신뢰성, 의지, 자기통제력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남성 또는 여성으로서 자신을 수용하고 성에 적합한 행동과 태도를 인식하고 행해야 합니다. 또한 다른 사람과 가치, 흥미, 동기 등을 어느 정도 공유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자신은 타인과 다른 독특하고 특별한 개인이라는 자기지각의 일관성이 있어야 합니다. 이와 같이 자아정체감이 확립된 사람은 자기 자신을 타인과 분리된 독특한 개인으로 지각하고 자신의 틱성을 조화롭게 통합해 나가고자 하는 의지와 능력이 있습니다. 그리고 자기 자신을 지각하는 일관성을 고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자아정체감이란 자기 자신을 타인과 구별되는 독립된 고유한 존재로 인식하고 자신의 능력, 신념, 가치, 동기, 경력 등을 조화롭게 통합니다. 그리러므로 어떠한 변화에도 자신을 일관성 있게 지각하고자 하는 내면화된 역동적인 체제라 할 수 있습니다.

 

자아정체감의 발달 개념,정체감의 혼비와 유실,자아 정체감 유예,형성 영향 요인
자아정체감의 발달,정체감의 혼비와 유실,자아 정체감 유예,형성 영향 요인

 

정체감 혼미와 유실

정체감 혼미는 정체감 위기나 수행을 아직 경험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직업이나 자신의 신념에 대한 의사결정도 하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즉 이것은 정체감 문제에 대한 관심이나 필요성을 아직 느끼지 못하여 그것이 중요한 쟁점이 아니거나 쟁점이 되었다 하더라도 결코 해결되지 않는 상태입니다. 정체감 혼미는 정체감 혼미상태에 있는 청소년은 개인적인 직업계확이나 이념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자기발전을 위한 노력이나 무엇을 해야 하는지 고민하는 위기의 경험도 없습니다. 그들은 또한 자신에 대한 안정되고 통합된 견해를 갖는데 실패하였습니다. 그리고 어떠한 선택을 하여 그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것도 아닙니다. 정체감 혼미는 의사결정을 내리지 못한 면에 있어서는 정체감 유예와 비슷하지만 위기의 상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없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정체감 혼미 수준의 청소년은 정체감 성취나 유예 수준의 청소년에 비해 자존심, 자발성, 자제력 등이 떨어지며, 부모와의 독립적이지만 유대감이 적습니다. 정체감 유실은 자신의 가치관이나 진로에 있어서 의문을 제기하거나 가능한 대안을 생각하는 것과 같은 위기를 경험하지 않고 부모나 다른 역할모델의 가치, 기대 등을 그대로 수용하여 그들과 비슷한 선택을 한 상태입니다. 즉 이것은 직업, 이념 등을 탐색하려는 적절한 기회를 갖고자 하는 위기를 경험하지 않고 선택의 여지도 없이 무조건 의사결정을 내린 상태입니다. 정체감 유실 상태에서의 수행은 부모 또는 중요한 타자들에 대한 동일시에 의해서 그리고 부모와 다른 사람들의 사회화 노력, 압력, 주입에 의해 이루어진 것입니다. 이것은 부모가 좋은 직업이라고 하면 자신의 적성을 탐색해 보지도 않고 선택하는 것과도 같습니다. 정체감 유실에서 나타나는 수행은 정체감 성취에서의 수행과는 대조적인 것으로 진정한 개인적인 탐구와 탐색의 결과가 아닙니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본질적인 질문과 선택을 통한 노력이 없이 그냥 받아들여진 것입니다.

정체감 유실 수준의 청소년은 정체감 성취나 유예 수준의 청소년에 비해 자신에 대한 사려가 깊지 못합니다. 그리고 의존적이고 자신감이 적지만 부모와 강한 애착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자아장체감의 형성 유예

정체감 유예는 정체감 위기상태에 있으면서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해 다양한 역할, 신념, 행동 등을 실험하고 있으나 의사결정을 하지 못한 상태를 말합니다. 즉 정체감 유예에 속한 청소년들은 대안적인 역할과 신념들을 시험해 봄으로써 개인적 정체감을 정의하려고 적극적으로 조력합니다. 하지만 아직 수행을 하지 않았거나 매우 일시적으로 시험적인 수행만을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직업에서 정체감 유예 상태에 있는 청소년은 자신의 능력,희망,적성,부모의 기대,사회적 요구 등을 총동원하여 자신에게 회선의 길이 어떤 것인가를 탐색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역할을 실험합니다. 그러한 과정 속에서 그들은 자신 스스로의 선택과 타인의 견해 사이에서 동요를 보이며 불확정 상태에 빠지기도 합니다. 정체감 유예 상태의 청소년들은 대부분 정체감 성취로 옮겨가지만 그 중에는 정체감 혼미 쪽으로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는 과정 인 자아정체감 형성의 영향요인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는 과정 인 자아정체감의 형성은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는 과정으로 정체감 혼미 상태로부터 점차 정체감 성취의 상태로 이루어집니다.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는 과정인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하지만 그중에서도 부모와 동년배가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부모는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칩니다. 부모가 자녀에게 애정적이고 부모 자녀 사이의 의사소통을 격려하며 자녀의 저주적이고 독립적인 노력을 권장하는 경우에는 청소년이 자신의 인생에 대해 고민하고 자유롭게 의사결정을 하게 되어 자아정체감의 성취나 유예 상태가 됩니다. 부모가 자녀에게 적대적이며 행동을 엄격하게 통제하고 강압적인 경우에는 청소년이 자신의 장래를 고민하기보다는 부모의 결정을 그대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자아정체감 유실 상태에 놓이게 됩니다. 한편 부모가 자녀에게 무관심하고 접촉을 회피하며 무시하고 거부적인 경우에는 청소년이 자아정체감 혼미에 빠지기 쉽습니다.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는 과정인 자아 정체감의 형성의 영향요인에서 동년배는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청소년기에는 자신에 대한 의문과 불확실한 미래 등과 같은 비슷한 고민으로 방황하는 시기입니다. 청소년기의 또래 집단은 이러한 고민을 비롯한 부모와의 갈등,가치,신념,진로,장래의 직업 등에 대하여 의논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한편 자아정체감의 형성에는 성별로 다소 차이가 존재하지만 점차 변화되고 있습니다. 정체감의 탐색에서 남성은 이념이나 직업선택이 핵심적인 관심사인 반면에 여성은 인간관계와 혼인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는 것입니다. 여성이 넘성에비해 자아정체감의 형성을 더욱 복잡하고 힘든 과업으로 생각하고 있음과 동시에 남성이 여성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자아정체감의 형성을 보인다는 것입니다.